본문 바로가기
OTT 활용

OTT 서비스 비용 절감법: 할인을 받는 10가지 스마트한 방법

by OTTLife 2024. 7. 16.
728x90

스마트폰이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한 것처럼, OTT 서비스를 통해 지상파 방송(KBS, MBC, SBS)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영화, 드라마,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하는 것이 보편화됨에 따라 OTT 구독료 또한 고정적인 지출 항목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OTT 업계는 수익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월 구독료를 꾸준히 인상하고 있으며, 무료 이용 및 다양한 할인 혜택 또한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동일한 OTT 서비스를 보다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보유한 기기에 가장 적합한 요금제 활용

앞서 여러가지 OTT서비스의 요금제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는데, 대부분의 OTT들은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와 '동시 접속자수', 영상과 화질 강화 솔루션 적용 여부에 따라 요금제를 나누고 있습니다.

 

화질면에서는 각 OTT의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해 보고, 스마트폰, Tablet, PC, 스마트TV의 대응 수준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OTT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대표 해상도]

  • 8K (7680 X 4320)
  • 4K (3840 X 2160)
  • Full HD (1920 X 1080)
  • HD (1280 X 720)
  • SD (720 X 480)

[주요 스마트폰의 해상도] (세로 X 가로)

  • 아이폰 15 / 아이폰 15 Pro (2556 X 1179)
  • 아이폰 15 Plus / 아이폰 15Pro Max (2796 X 1290)
  • 삼성 Z Fold 6 (2160 X 1856)
  • 삼성 Z Flip6 (2640 X 1080)
  • 삼성 갤럭시 S24 (2340 X 1080)
  • 삼성 갤럭시 S24+ / S24 Ultra (3120 X 1440)

[주요 Tablet의 해상도] (세로 X 가로)

  • 애플 아이패드 에어 11 (2024) (2460 X 1640)
  • 애플 아이패드 에어 13 (2024) (2732 X 2048)
  • 애플 아이패드 프로 11 (2024) (2420 X 1668)
  • 애플 아이패드 프로 13 (2024) (2752 X 2064)
  • 삼성 갤럭시 탭 S9 Ultra (2960 X 1848)
  • 삼성 갤럭시 탭 S9+ (2800 X 1752)
  • 삼성 갤럭시 탭 S9 (2560 X 1600)
  • 레노버 P12 (12.7인치 글로벌 모델) (2944 X 1840)
  • 레노버 K11 Plus (11.45인치 글로벌 모델) (2000X1200)

 

현재 출시되는 주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는 4K 해상도를 온전히 지원하는 모델이 부재하므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통한 OTT 시청 시 고가의 4K 요금제보다는 Full HD 해상도까지 지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합니다.

다만, 넷플릭스와 디즈니+에서 돌비 비전을 사용하고 싶은 애플 스마트폰 및 아이패드 사용자는 가장 높은 프리미엄 요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2. 광고를 참을 수 있다면 광고형 요금제 사용

광고형 요금제는 기본 요금제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나, 콘텐츠 이용 중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유튜브를 제외하고, 국내에서 광고형 요금제를 통해 기본 요금제 대비 50% 이하의 가격으로 시청 가능한 OTT 서비스로는 넷플릭스와 티빙이 대표적입니다.

 

 

3. 1년 이상 꾸준히 사용한다면 월 요금제보다는 연 요금제로 결제

OTT 서비스를 1년 이상 꾸준히 사용할 계획이라면 월 요금제보다는 연 요금제로 결제하는 것이 더 경제적입니다. 예를 들어, 웨이브는 연 요금제를 선택하면 2 개월치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디즈니+ 역시 연 요금제가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면 월 요금제보다 2개월치를 할인된 금액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연 요금제를 통해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4.스마트폰/타블렛보다는 웹페이지에서 결제

OTT 서비스의 요금을 결제할 때 스마트폰이나 타블렛보다는 웹페이지에서 결제하는 것이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를 통한 결제는 추가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공식 웹페이지를 통해 직접 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넷플릭스는 인앱 결제가 불가능하고 웹페이지를 통한 결제만 가능하며 유튜브 프리미엄의 경우에는 웹페이지와 구글플레이에서는 월 14,900원에 구독이 가능하지만, 애플 앱스토어에서 인앱 결제로는 월 19,500원을 지불하여야 합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유튜브 프리미엄등 대부분의 OTT가 웹페이지에서 결제 시 추가 수수료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보다 저렴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통신사 전용 요금제와 추가 할인 받기

통신사와 제휴를 맺은 OTT 서비스는 전용 요금제와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K텔레콤은 웨이브와, KT와 LG유플러스는 티빙과 각각 제휴하여 고객들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SK텔레콤의 '다이렉트 5G 62(넷플릭스)' 요금제를 가입하면  광고형 넷플릭스 스탠다드 (5,500원) + 웨이프 콘텐츠팩 (7,900원)을 개별 구입시 총 13,400원을 지불해야 하지만, 5,000원을 할인 받아 월 7,000원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SK텔레콤 다이렉트 5G 62 우주패스 Netflix
SK텔레콤 다이렉트 5G 62 우주패스 Netflix

 

6. 제휴 신용카드 할인

다수의 신용카드사에서 넷플릭스, 디즈니+, 유튜브 프리미엄 등의 OTT 서비스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카드로 일정 금액 이상 결제 시 OTT 구독료 환급 혜택을 제공하여, 고객님의 OTT 서비스 이용료 부담을 경감해 드립니다.신용카드 혜택을 꼼꼼히 살펴보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신한카드의 '구독 좋아요'카드의 경우는 전월 이용금액이 80만원이상인 경우 2만원 한도에서  OTT 정기결재 금액을 100% 할인해 주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구독 좋아요 카드
신한카드 구독 좋아요 카드

 

7. 무료 체험 

OTT 서비스의 무료 체험 혜택은 신규 가입자 확보를 위한 일반적인 방식이었으나, 최근 들어 그러한 혜택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현재 유튜브 프리미엄은 1개월,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7일간의 무료 체험을 제공하는 등 일부 OTT 서비스에서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애플 제품 중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애플TV, 맥을 새로 사면 Apple TV+를 3개월 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계정당 한 번만 무료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애플의 기기 구입시 애플TV+ 3개월 무료 사용
애플의 기기 구입시 애플TV+ 3개월 무료 사용

 

 

8. LG와 삼성의 스마트TV를 보유하고 있다면 무료 서비스인 FAST 적극 활용

LG전자와 삼성전자의 스마트TV를 보유하고 계시다면, 'LG 채널'과 '삼성TV 플러스'라는 광고 시청을 기반으로 하는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여러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LG와 삼성은 자사 스마트TV 플랫폼을 통해 무료 채널을 다채롭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OTT 서비스 구독 없이도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FAST서비스의 특성상 채널의 내용이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TV의 EPG정보나, 아래 편성표 웹사이트를 통해 채널 정보를 활인 할수 있습니다.

 

 

 

 

9. VPN을 통한 해외 계정 생성

글로벌 서비스를 하는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은 각 국가마다 현지 통화로 요금을 책정하기 때문에 환율의 영향으로 요금에 차별이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표준 요금제의 경우 2024년12월 기준으로 보면, 가장 월 요금이 가장 저렴한 국가는 '파키스탄', '터키', '아르헨티나', '이집트' , '나이지리아' 순입니다.

넷플릭스 국가별 스탠다드 요금제 비교
넷플릭스 국가별 스탠다드 요금제 비교

 

따라서 이러한 국가별 요금제 차등을 이용하여 VPN을 사용하여 해외계정을 생성하여 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무료 VPN은 스트리밍 속도를 충족하기 어려워 별도의 VPN 가입이 필요하며, 국가에 따라 현지 신용카드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OTT 서비스는 해외에서의 접속을 이용 약관 위반으로 간주하여 차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10. 계정 공유 서비스 활용

 

계정 공유를 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가족요금제가 도입된 OTT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공유스트리밍서비스' 라는 가족요금제를 모르는 사람들과 공유하는 서비스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비록 계정 공유가 이용료 부담 완화에 기여할 수 있으나, OTT 업계에서는 수익 구조 개선을 위해 가족 구성원 외 사용자와의 공유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에브리뷰', 'GoingBus'와 같은 여러 '공유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가족 계정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OTT 업체의 정책 변화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자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6개월~1년 단위 계약보다는 월 단위 계약을 권장합니다.